banner hiring cook

한카 자유 무역 협정 CKFTA

  캐나다 관점에서 본 한카 자유 무역 협정

 

캐나다 정부는 자국내 열심히 일할수 있는 기회와 직업창출을 할수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시장 진입하는 기회의 증진으로 사업을 확장 할수있고 이 무역협정으로 역사상 가장 야심차게 핵심역량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경쟁할 수 있습니다.

2014년 9월 22일 캐나다 스티븐 하퍼 수상과 대한민국 박근혜 대통령이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는 처음으로 한국 캐나다 자유 무역 협정에 서명했습니다. 법적 승인 및 양국간 필요한 절차를 모두 마친후 2015년 1 월 1 일 부터 시행합니다.

이 협정은 캐나다 기업과 근로자에게 전례없는 혜택을 줄것이며 중소기업에게는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특히 중소기업에게는 관세 철폐, 시장 불확실성을 없애고 차별대우를 없애는 등의 조치를 통해 한국 시장 에 진입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들면, 다른 나라가 아니고 마치 자기 나라 에서와 같은. 

 

시장 접근 증가

이 협정은 무역 장벽을 철폐하여 산업 제품 분야(예를들면, 항공우주, 정보 통신 기술, 금속및 광물, 화학, 플라스틱, 의약품, 산업기계 및 화장품등)와 농산품, 산림 목재 제품, 어업 및 수산물 분야에 한층 좋은 기회를 가져다주는 결과를 줍니다.

 

원산지 절차 단순화와 무역 간소화

이 협정은 캐나다 중소기업에게 한국 시장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할수있는 비용 절감하고 간소화 합니다.

예를 들어, 이 협정은 한국 세관을 통과절차를 단순화 합니다. 덕분에:

  • 원산지를 관리하는 불필요한 절차를 없애 투명하고 명쾌한 절차;
  • 원산지 표시나 관세 분류 물품의 사전 절차의 적용;
  • 자동화 정보로 신속한 국경 통과의 신속 절차;
  • 세관 규칙과 세관 불복에 관한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

비 관세 장벽 축소

이 협정은 강력한 비관세 분야 측정 캐나다 사업 환경의 계약의 혜택을 얻을 하고 시장 접근 의 이익 이 투명 또는 부당한 거래 제한 의 부족에 의해 훼손 되지 않도록 캐나다 사업을 도움이 될 것입니다 비관세 조치 , 강한 분야 를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비관세 조치에 관한 이 강한 분야 는 신속하고 효과적인 분쟁 해결 규정에 의해 백업됩니다.

 The Agreement contains strong disciplines on non-tariff measures, which will help Canadian businesses to reap the benefits of the Agreement and ensure that market access gains are not undermined by lack of transparency or unjustified trade restrictions. Importantly, these strong disciplines on non-tariff measures are backed up by fast and effective dispute settlement provisions.

For instance, the Agreement:

  • promotes and require (in absence of good reason not to) the use of internationally accepted standards that minimize duplicative certification and testing of products;
  • improves transparency with respect to standards and regulatory development by ensuring that SMEs have access to information, such as laws, regulations and administrative rulings, that can affect trade;
  • encourages cooperation in bilateral, regional and multilateral forums on ways to promote increased transparency;
  • promotes quality management system guidelines for the regulation of medical devices and pharmaceutical products to facilitate safe bilateral trade in those products; and
  • establishes a committee and prospectively a working group whereby any standards-related concerns can be addressed and dealt with on a timely basis, including concerns on wood building products and sanitary and phytosanitary issues.

Increased Access for Services and Improved Temporary Entry

Canadian SME service providers benefit from increased and more transparent and predictable access to the South Korean service market.

For example, Canadian SMEs benefit from preferential market access in key areas of export interest, which include research and development, environmental services, business services, services incidental to manufacturing and mining, wholesale trade, air and railroad transport services, legal consultancy services, and private and adult education.

The temporary entry provisions of the Agreement also benefit SMEs. The Agreement gives Canadian business people new and preferential access to the South Korean market by removing barriers to entry, such as economic needs tests. It also ensures that new barriers, such as quotas and proportionality tests, will not be introduced in the future.

The Agreement also provides preferential access for Canadian independent professionals, such as architects, engineers and management consultants, as well as broader coverage for Canadian firms sending professionals to South Korea to fulfill service contracts, for instance in the science, engineering or information technology fields.

These temporary-entry provisions are the most ambitious that South Korea has ever negotiated, which gives an advantage to Canadian SMEs over their U.S. and EU competitors.

South Korea: Gateway to Other Asian Markets

South Korea is a key gateway to the wider Asia-Pacific region and is geographically situated in an ideal location to facilitate trade with the rest of Asia.

The Agreement provides Canadians with access to new markets, customers and partnerships, creating stronger supply and production chains. Canadian SMEs can use South Korea as a strategic base for expanding their presence throughout the Asia-Pacific region, further increasing their global competiveness.

Canada already has significant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South Korea, including in the automotive, transportation, financial services and life sciences sectors. The Agreement offers opportunities for Canadian firms already enjoying success in the South Korean market to grow further. In turn, it also creates new opportunities for Canadian SMEs looking to partner with these established Canadian firms, thereby expanding their access to Asian supply chains.

2024년 수속 진행 상황

축하합니다!

영주권 최종 승인되셨습니다.


박 ***- Express Entry

2019년 8월 접수→2020년 01월 최종 승인


 

AINP 알버타 주정부 승인


정 ** - Print Technician

2019년 08월 접수→2020년 02월 AINP-AOS주정부 승인


박 ** - Dental Technician

2019년 12월 접수→2020년 01월 ABEE 주정부 승인


윤 ** - Cook

2019년 09월 접수→2020년 02월 AINP-AOS주정부 승인


우 ** - Cook

2019년 10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정 ** - Cook

2019년 10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나 ** - Liquor store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2월 ABEE주정부 승인


윤 ** - Dental Technician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이 ** - Food service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최 ** - Housekeeping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4월 AINP-AOS주정부 승인


** - Cook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2월 AINP-AOS주정부 승인


김 ** - Retail Store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정 ** - Retail Store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4월 AINP-AOS주정부 승인


정 ** - Food Service Supervisor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4월 AINP-AOS주정부 승인


권 ** - Cook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차 ** - Cook

2019년 11월 접수→2020년 03월 AINP-AOS주정부 승인


 

LMIA 승인


Assistant Cook

2020년 01월 접수→2020년 01월 승인


Cook 

2020년 01월 접수→2020년 01월 승인


Retail store supervisor

2020년 02월 접수→2020년 02월 승인


Food Service supervisor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4월 승인


Cook 

2020년 01월 접수→2020년 02월 승인


Retail store supervisor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4월 승인


Cook 

2020년 02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Cook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Retail Store Supervisor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Cook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Food Service Supervisor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Housekeeping Supervisor

2020년 04월 접수→2020년 04월 승인


Retail Store Supervisor

2020년 03월 접수→2020년 03월 승인


Cook 

2020년 04월 접수→2020년 04월 승인


Retail Store Supervisor

2020년 04월 접수→2020년 04월 승인